자바스크립트는 HTML상에 들어가며
자바스크립트를 HTML에 포함시키는 방법은
HTML에 그대로 써넣는방식(inline)과 별도 파일로 만들어서 로드시키는 방법(external)이 있습니다.
1. HTML에 그대로 넣는 방식
HTML에 그대로 넣는 방식은 HTML의 어느 부분에던지 넣을수 있습니다.
주로 <head>~</head>에 넣기도 하고 <body>~</body>중간중간 필요할때나 body 제일밑에 넣기도 합니다.
넣는 위치에 따라 다른결과를 출력할수도 있는데 이는 다음에 알아보기로 하고
넣을때는 단지 태그 script로 열고 script로 닫아주면 됩니다. 즉
[removed]
자바스크립트 내용~~
[removed]
이면 자바스크립트의 내용이 실행됩니다.
HTML5이하 버전에서는 [removed][removed]로 쓰기도 하는데
이제 거의 HTML5이므로 HTML5의 경우에는 편하게 type은 생략하여도 됩니다.
2. 별도 파일로 만들어서 로드시키는 방법
별도 파일로 만들경우는 자바스크립트 내용을 따로 파일로 만들어서 xx.js 같은 텍스트 파일로 만들어서 저장합니다.
그런다음 위와 같이 스크립트태크를 이용하여서 head사이나 body부분에 넣으면되는데 이때 문법이 약간 달라집니다.
[removed][removed] 처럼 만들면 됩니다.
src속성만 채워넣어주면 되는거지요
그러면 브라우저가 xx.js에 내용을 받아와서 실행시켜줍니다.
다른 홈페이지들 소스보기를 해보면 해당 태그 사용법들을 쉽게 확인해볼수 있습니다.
별도파일로 만들면 자바스크립트 내용만 따로 관리하고 수정할수 있어서 깔끔하고 편리합니다.
하지만 삽입순서에 따른 실행결과 차이때문에 HTML에 그대로 넣는 방식으로만 처리해야될때도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는 위의 두가지 방식을 이용해서 HTML에 넣기만 하면 브라우저가 알아서 실행시켜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