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일즈 서버 설치, 설정

11

작성자 :     등록일시 : 2014-04-17 14:50:24 +09002014-05-10 16:41:54 +0900

로칼에서 기본제공 서버인 webrick서버를 이용하여 사이트 제작을 마쳤다면

실제 서버에 올려서 서비스를 해야할것 입니다 .

webrick서버는 순수 루비로 제작된 서버로 레일즈에서 기본제공되어 개발시 편하게 이용할수 있지만

실제서비스에서는 사용하는데 제약이 있습니다.

실제서비스에서 레일즈가 운영가능하게 하는 서버프로그램은  많이 있어서 선택의 폭이 넓습니다.

각각마다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보고 자기에게 가장 알맞은것을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1. 편리한 설치와 쉬운 설정이 좋은 Passenger

이미 아파치와 요즘 뜨는 nginx서버가 이미 설치되어 있거나 운영되고 있다면 바로 Passenger를 설치만 하면

레일즈 서비스를 바로 운영할수 있습니다.

gem으로 설치 할 수도 있고 gem installl passenger

리눅스 패키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걸로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설치후에는 passenger-install-apache2-module, passenger-install-nginx-module 명령어가 사용가능한데

명령어 이름그대로 해당하는 서버 모듈을 설치하면 됩니다.

정말 편하고 쉽게 설치할수 있어서 편하고 좋습니다.

자신이 Apache서버를 운영중이라고 하면 이를 선택하는것이 가장 좋을듯 합니다.

 

2. 레일즈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서버 mongrel

예전 여러 프로그램이 생기기전에는 레일즈 실서버라 하면 자동적으로 Mongrel을 떠올렸습니다.

Mongrel 역시 gem 이나 해당 리눅스 패키지 시스템으로 설치할수 있습니다.

설치후에는 아파치 또는 nginx로 프록시 연동을 시키면 되는데 이에 관한것은 좀 많은양이고

제가 사용을 안해본 관계로 다음에 다루어 보겠습니다.

google 검색을 통하면 많은 자료를 찾아볼수 있습니다.

 

3. 또하나의 인기 서버 unicon

unicon 또한 인기를 끌고 있는 서버프로그램으로 mongrel과 함께 바로 생각되는 실서버 프로그램입니다.

한때는 뛰어난 성능으로 mongrel능가하는 많은 인기를 끌었는데 mongrel또한 성능이 개선되어 엎치락 뒤치락 하는 형세입니다.

이렇게 발전해 나가니 사용자들에게는 더욱 좋은 결과가 있습니다.

이 역시 mongrel처럼 설치하고 연동시키면 되는데 역시 다음에 다루어 보겠습니다.

 

4. 말 그대로 작고 가벼운 thin

이렇게 여러 서버프로그램이 있는 가운데 또 하나의 프로그램이 나와서 인기를 끌게되니 이것이 thin입니다.

이름처럼 작고 가벼운 서버프로그램으로 작고 가벼워서 실서비스 뿐만 아니라 개발시에도 사용가능합니다.

Gemfile에 thin을 추가만 해주고 bundle update를 해주면 되겠지요?

./bin/rails server를 실행하면 webrick이 아닌 thin서버가 실행되지요

이를 설치, 연동하는 방법은 조만간 바로 다루어 보겠습니다.

 

레일즈를 서비스 할수 있는 서버가 참 많이 있지요?

이밖에도 많은 서버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서비스를 하면 레일즈를 서비스하는 재미또한 느낄 수 있을것입니다.

Tags: 레일즈 서버, webrick, passenger, gem, mongrel, unicorn, thin

댓글쓰기